본문 바로가기

육항20

6. [4일차] 한국 근현대사 정리(현대 민주주의, 6.25이후의 경제) ※ 위에서 아래로 시간순으로 정리했습니다.1. 1948 : 초대대통령 선거(간선, 제헌국회) : 이승만 당선2. 1950 : 2대 국회총선 > 反이승만 세력이 다수당선 > 6.25전쟁 발발3. 1952 : 1차개헌(발췌개헌) / 대통령 직선제, 국회 양원제4. 1954 : 2차개헌(사사오입) / 초대대통령의 중임제한 철폐5. 1956 : 3대 대통령 선거(직선제) : 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장면 당선 - 무소속의 조봉암의 높은 득표율 > 진보당 창당 > 조봉암 구속 > 진보당 해산 >보안법 파동 > 조봉암 사형 > 경향신문 폐간6. 1960 : 3.15 부정선거(4대대통령선거) vs 1차 마산시위(김주열 사망) > 2차 마산시위 > 고대학생테러 > 4.19혁명 > 서울대교수 시국선언 > 이승만 하야(4... 2020. 1. 5.
5. [3일차]한국 근현대사 정리(광복, 6. 25전쟁) 1. 광복 ~ 1950년 - 카이로 회담(1943) : 한국의 독립을 약속한 회담(적당한 시기에) - 얄타 회담(1945. 2) : 소련의 참전(2차대전)을 약속 - 포츠담 회담(1945. 7) : 한국의 독립 재확인 - 조선 건국 동맹(여운형) : 좌익과 우익이 참여한 비밀결사 > 건준위의 모체 - 대한민국 임시정부(김구) ※ 아래로는 사건 순서대로 번호붙여서 진행됨! 1. 1945. 8. 15 광복 / 분단 : 북(소련), 남(미국) - 조선건국준비위원회 : 좌익과 우익을 망라한 단체 / 치안대를 조직하고 전국에 지부설치 / 조선 인민 공화국 선포 - 미군정은 조선인민공화국, 충칭 임시정부 모두 인정하지 않았음 2. 미/소 군정의 시작 - 38도선을 경계로 이북.. 2020. 1. 4.
4. [2일차] 한국 근현대사 정리(북한체제의 형성, 북한의 모습, 북한의 대남도발) 1. 북한체제의 형성 / 현실 1. *계파 지역 세력 인물, 성격 소련의 지원 국내 우익 조만식, 실력양성 X 좌익 박헌영, 민족해방 X 연안 좌익 김두봉, 항일무장 X 소련 좌익 허가이, - O 빨치산(만주/소령) 좌익 김일성, 항일무장 O 2. 정권 수립 과정 - 서울에 본부를 둔 조선 공산당으로부터 상대적인 독자성을 지닌 북조선 분국이 설치(45년 10월) 소련군의 지원을 받으면서 영향력을 확대해 갔음 - 북조선 5도 인민위원회(45. 11월)설치 : 북한지역 인민위원회 활동을 총괄하기위함 - 북조선 임시 인민 위원회(46. 2월) : 위원장에 김일성, 부위원장에 김두봉 선출 > 토지개혁 실시 + 친일파처단 - 북조선 노동당 창당 : 위원장은 김두봉, 부위원장은 김일성과 허가이 선출 > 공산주의 단.. 2020. 1. 3.
3. [1일차] 한국 근현대사 정리(역사왜곡, 동북공정, 독도문제) 1. 육군 국사 필기고사 요약집에대하여. 근현대사를 공부하기 위해서 최태성선생님의 별별한국사(고급-근현대사), 설민석선생님의 공무원한국사(근현대사) 두개의 강의를 수강하고(가벼운 마음으로 TV교양프로그램 시청하듯이 보았음.)나서 육군에서 배포하는 국사 요약본을 출력하여 비교해 보았다. - 최태성선생님의 별별한국사(고급-근현대사) - 수강료 : 교재비(서점구매)외 없음 / 이투스 무료강의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위해서 무료 강의도 열어주시고, 소설책처럼 써주신 책도 있어서 활용하기 편하고 고등학교 시절부터 국사를 포기했던 나에게는 굉장히 도움이 많이 되었다. 무작정 사건과 시기를 암기하던것과는 달리 전후 인과관계를 이해를 하다보니, 정확한 년도는 몰라도 사건의 순서가 머릿속에서 잘 정리가 되었다. / 설민석선.. 2020.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