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2일차] 한국 근현대사 정리(북한체제의 형성, 북한의 모습, 북한의 대남도발)
1. 북한체제의 형성 / 현실 1. *계파 지역 세력 인물, 성격 소련의 지원 국내 우익 조만식, 실력양성 X 좌익 박헌영, 민족해방 X 연안 좌익 김두봉, 항일무장 X 소련 좌익 허가이, - O 빨치산(만주/소령) 좌익 김일성, 항일무장 O 2. 정권 수립 과정 - 서울에 본부를 둔 조선 공산당으로부터 상대적인 독자성을 지닌 북조선 분국이 설치(45년 10월) 소련군의 지원을 받으면서 영향력을 확대해 갔음 - 북조선 5도 인민위원회(45. 11월)설치 : 북한지역 인민위원회 활동을 총괄하기위함 - 북조선 임시 인민 위원회(46. 2월) : 위원장에 김일성, 부위원장에 김두봉 선출 > 토지개혁 실시 + 친일파처단 - 북조선 노동당 창당 : 위원장은 김두봉, 부위원장은 김일성과 허가이 선출 > 공산주의 단..
2020.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