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준위20

7. [5일차] 한국 근현대사 정리(일제강점기, 독립운동, 무장투쟁, 사회운동, 일제의 교육/문화 정책 등) 1. 일제의 식민통치정책 1. 1910년대 : 무단통치 - 조선총독부(무관총독) 설치 - 중추원 : 단순 자문기구이지만, 허울뿐이었음 - 헌병경찰제, 즉결 처분권(재판없이 구류, 벌금, 태형), 조선 태형령 - 언론, 출판, 집회, 결사권 박탈! - 관리와 교원은 제복 및 칼 착용 - 토지조사사업 : 기한부 신고제, 회사령(허가제) // 회삼어토지광주수임 순으로 령이 붙는당(회사령, 삼림령, 어업령,,... 순) 2. 1920년대 : 문화통치 - 보통경찰제 실시 > 치안유지법 제정, 경찰력 3배 증가 - 보통교육, 기술교육만 허용, 경성제국대학 설립 - 조선일보, 동아일보 발행 허가 but 검열 - 산미증식계획 - 회사령(신고제), 관세 철폐 > 물산장려운동의 계기가 됨 3. 1930~1940년대 : 민.. 2020. 1. 6.
6. [4일차] 한국 근현대사 정리(현대 민주주의, 6.25이후의 경제) ※ 위에서 아래로 시간순으로 정리했습니다.1. 1948 : 초대대통령 선거(간선, 제헌국회) : 이승만 당선2. 1950 : 2대 국회총선 > 反이승만 세력이 다수당선 > 6.25전쟁 발발3. 1952 : 1차개헌(발췌개헌) / 대통령 직선제, 국회 양원제4. 1954 : 2차개헌(사사오입) / 초대대통령의 중임제한 철폐5. 1956 : 3대 대통령 선거(직선제) : 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장면 당선 - 무소속의 조봉암의 높은 득표율 > 진보당 창당 > 조봉암 구속 > 진보당 해산 >보안법 파동 > 조봉암 사형 > 경향신문 폐간6. 1960 : 3.15 부정선거(4대대통령선거) vs 1차 마산시위(김주열 사망) > 2차 마산시위 > 고대학생테러 > 4.19혁명 > 서울대교수 시국선언 > 이승만 하야(4... 2020. 1. 5.
5. [3일차]한국 근현대사 정리(광복, 6. 25전쟁) 1. 광복 ~ 1950년 - 카이로 회담(1943) : 한국의 독립을 약속한 회담(적당한 시기에) - 얄타 회담(1945. 2) : 소련의 참전(2차대전)을 약속 - 포츠담 회담(1945. 7) : 한국의 독립 재확인 - 조선 건국 동맹(여운형) : 좌익과 우익이 참여한 비밀결사 > 건준위의 모체 - 대한민국 임시정부(김구) ※ 아래로는 사건 순서대로 번호붙여서 진행됨! 1. 1945. 8. 15 광복 / 분단 : 북(소련), 남(미국) - 조선건국준비위원회 : 좌익과 우익을 망라한 단체 / 치안대를 조직하고 전국에 지부설치 / 조선 인민 공화국 선포 - 미군정은 조선인민공화국, 충칭 임시정부 모두 인정하지 않았음 2. 미/소 군정의 시작 - 38도선을 경계로 이북.. 2020. 1. 4.
4. [2일차] 한국 근현대사 정리(북한체제의 형성, 북한의 모습, 북한의 대남도발) 1. 북한체제의 형성 / 현실 1. *계파 지역 세력 인물, 성격 소련의 지원 국내 우익 조만식, 실력양성 X 좌익 박헌영, 민족해방 X 연안 좌익 김두봉, 항일무장 X 소련 좌익 허가이, - O 빨치산(만주/소령) 좌익 김일성, 항일무장 O 2. 정권 수립 과정 - 서울에 본부를 둔 조선 공산당으로부터 상대적인 독자성을 지닌 북조선 분국이 설치(45년 10월) 소련군의 지원을 받으면서 영향력을 확대해 갔음 - 북조선 5도 인민위원회(45. 11월)설치 : 북한지역 인민위원회 활동을 총괄하기위함 - 북조선 임시 인민 위원회(46. 2월) : 위원장에 김일성, 부위원장에 김두봉 선출 > 토지개혁 실시 + 친일파처단 - 북조선 노동당 창당 : 위원장은 김두봉, 부위원장은 김일성과 허가이 선출 > 공산주의 단.. 2020.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