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5일차] 한국 근현대사 정리(일제강점기, 독립운동, 무장투쟁, 사회운동, 일제의 교육/문화 정책 등)
1. 일제의 식민통치정책 1. 1910년대 : 무단통치 - 조선총독부(무관총독) 설치 - 중추원 : 단순 자문기구이지만, 허울뿐이었음 - 헌병경찰제, 즉결 처분권(재판없이 구류, 벌금, 태형), 조선 태형령 - 언론, 출판, 집회, 결사권 박탈! - 관리와 교원은 제복 및 칼 착용 - 토지조사사업 : 기한부 신고제, 회사령(허가제) // 회삼어토지광주수임 순으로 령이 붙는당(회사령, 삼림령, 어업령,,... 순) 2. 1920년대 : 문화통치 - 보통경찰제 실시 > 치안유지법 제정, 경찰력 3배 증가 - 보통교육, 기술교육만 허용, 경성제국대학 설립 - 조선일보, 동아일보 발행 허가 but 검열 - 산미증식계획 - 회사령(신고제), 관세 철폐 > 물산장려운동의 계기가 됨 3. 1930~1940년대 : 민..
2020. 1. 6.
4. [2일차] 한국 근현대사 정리(북한체제의 형성, 북한의 모습, 북한의 대남도발)
1. 북한체제의 형성 / 현실 1. *계파 지역 세력 인물, 성격 소련의 지원 국내 우익 조만식, 실력양성 X 좌익 박헌영, 민족해방 X 연안 좌익 김두봉, 항일무장 X 소련 좌익 허가이, - O 빨치산(만주/소령) 좌익 김일성, 항일무장 O 2. 정권 수립 과정 - 서울에 본부를 둔 조선 공산당으로부터 상대적인 독자성을 지닌 북조선 분국이 설치(45년 10월) 소련군의 지원을 받으면서 영향력을 확대해 갔음 - 북조선 5도 인민위원회(45. 11월)설치 : 북한지역 인민위원회 활동을 총괄하기위함 - 북조선 임시 인민 위원회(46. 2월) : 위원장에 김일성, 부위원장에 김두봉 선출 > 토지개혁 실시 + 친일파처단 - 북조선 노동당 창당 : 위원장은 김두봉, 부위원장은 김일성과 허가이 선출 > 공산주의 단..
2020. 1. 3.